Dev.BeryL 2022. 2. 8. 23:14
728x90
  • Serverless의 주축을 담당
    • Serverless : server + less → 서버가 없다.
    • 클라우드가 직접 서버를 돌려주고, 생성하며 리소스들을 서버의 사용량에 따라 직접 할당해줌
    • 따라서, 문제점도 덜 발생한다. 또한 사람의 간섭이 거의 없는 편이다.
  • Events를 통하여 Lambda를 실행시킴
    • Event ex) 업로드 된다. 삭제 되었다 등
  • NodeJS, Python, Java, Go등 다양한 언어 지원
    • 직접 코드를 자서 이벤트가 감지되었을때 우리가 작성한 코드가 실행이 된다.
    • Lambda → 다른 서비스 호출
  • Lambda Function
    • 람다에서 짠 코드를 람다 함수라고 한다.

비용

  • Lambda Function이 실행될때만 비용 지불
  • 매달 1,000,000번 함수 호출 시 무료 (그 후로는 유료)

기타

  • 최대 300초(5분) 런타임 시간 허용 → aws에 요청해도 그 이상 늘릴 수 없음
  • 512MB의 일시적인 디스크 공간 제공(/tmp/)
  • 최대 50MB Deployment Package 허용

AWS 콘솔에서 코드를 짤 수도 있지만 Deployment package도 허용

파일 크기가 50MB가 초과될 시 S3 사용

 

사용 용례(1)

S3 에 파일을 업로드할때 PutObject 이벤트 발생 → 람다 함수 실행 → 람다는 데이터를 읽어보고 필요에 의해

데이터 변환 , 불필요한 데이터 삭제 → 데이터 베이스로 깨끗한 데이터를 업로드 해준다.

 

 

사용 용례(2)

IoT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가 들어온다 가정 했을 때

IoT에서는 Topic을 통하여 관리를 한다. Topic으로 데이터를 보내며 → 람다 함수가 데이터를 변환해준다 → SNS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 해준다.

반응형